전체 글297 전세는 가고 월세 전성시대. 남은 돈은 재테크. 전세보다 월세 선호현상 뚜렷! 역대급 전세사기에 대한 우려로 월세 선호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비아파트 임대차 시장에서도 월세 비중이 커졌고, 수요가 늘면서 가격도 함께 오르고 있습니다. 빌라 (다세대주택) 기피 추세로 아파트 월세시장도 들썩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통해 비아파트(단독, 다가구, 연립다세대) 월세 거래비중을 살펴본 결과 신규 임대차 계약 중 월세 비중은 67.2%로 나와 있습니다. 비아파트 갱신 월세계약은 36.8%, 아파트 신규 월세계약이 40.0%인 것과 비교하면 최근 들어 빌라 등에 임대로 살 때 전세보다는 월세를 택하는 이들이 많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역전세, 깡통전세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은 아파트.. 2024. 2. 12. 부동산 침체기인 지금, 서울의 꼬마빌딩 투자할까? 서울 꼬마빌딩 투자할 때인가? 고금리·경기부진 여파로 시장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반대로 틈새 투자를 검토하는 부자 고객들이 늘고 있습니다. 최근 부자들의 관심을 살펴보면 특히 압구정동 등 핵심 지역에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은 주택 시장에 별 관심이 없습니다. 아파트는 여러 채 보유해 봐야 세금 부담만 커지니, 똘똘한 한 채 (혹은 종합부동산세가 중과되지 않는 똘똘한 두 채) 면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생각은 다릅니다. 주택이 고점에서 20%가량 조정받았는데, 만약 빌딩도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했다면 매수를 검토하겠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 예로 “5년 전에 서울 쪽 빌딩을 매수해서 지금은 보유 자산이 두 배로 불은 사람과 비슷한 시기에 지방에서 매수한 .. 2024. 2. 11. 은퇴 이후 투자 고민! 이 부동산은 피하세요. 명예퇴직. 조기퇴직. 사오정. 오륙도. 예전에는 학교 졸업하고 취업을 하면 보통은 정년퇴직까지 보장받았던 시대도 있었습니다. 아마도 우리 부모님 아니 이제 조부모님 시대라 해야 맞을 거 같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조기퇴직, 명예퇴직, 사오정 등 취업을 했다 해도 불안한 미래를 살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명예퇴직 후 평범한 회사원이라면 솔직히 재취업은 가망이 없다고 봐야 합니다. 재취업을 한다고 하더라도 본인의 생각과 다를 수 있고 그동안의 본인의 커리어에 맞지 않아 갈등이 생겨 보통은 오래 다니기 힘든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은퇴 이후 집 빼고 퇴직금에 그동안 저축액이 있다면 이것을 밑천으로 수입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프랜차이즈 창업이나 부동산으로 수익을 올리는 방법을 고민하게 됩니다.. 하지만 퇴.. 2024. 2. 10. 매물이 많다는데 지금 집을 살까? 아니면 기다려볼까? 2024년이 시작되면서부터 부동산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습니다. 전국 아파트값은 매물가격이 일부 하향조정되고 급매물 위주 거래가 발생하면서 하락세가 지속되는 추세입니다. 일부에서는 최근 정부가 내놓은 정책대출과 하반기로 예상되는 기준금리 인하로 인한 금리 조정이 주택가격을 다시 견인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지만 2024년 하반기 팔리지 않은 매도물량이 쌓이고 가격 하락폭이 더 커지는 시장이 올 수도 있을 거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절대적인 수요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좋은 집보다는 '가격이 오르는 집'을 보는 눈을 키우는 게 중요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럼 2024년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2024년 부동산, 매도 물량 쌓이는 시기 온다" 상반기와 하반기를 나눠서 보면 요.. 2024. 2. 9. 100세 시대! 상속 보다는 증여로 준비하세요. 100세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요즘은 열심히 노력해도 미래가 불안정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열심히 노력해서 사는 이유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은 바로 돈입니다. 돈을 얻는 방법은 일을 해서 벌거나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방법이 대표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은 증여보다는 상속으로 부모로부터 자산을 물려받았지만 100세 시대라 말하고 있는 지금의 시대에서는 부모세대가 100세까지 살다 죽어 상속이 이루어진다면 자녀의 나이는 거의 70살 가까이 되거나 훌쩍 뛰어넘었을 수도 있겠죠. 그 나이에 상속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재투자와 소비는 어려워지고, 그 순간부터 본인의 상속문제로 또다시 고민하게 될 것입니다. 이렇듯 상속으로 재산을 자녀에게 물려주는 방법으로는 세대 간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생전 증여의.. 2024. 2. 8. 알고계시나요? 오피스텔 월세 7개월 연속 상승중. 수도권 오피스텔 월세 7개월 연속 상승 임대수익률 하락으로 애물단지 신세로 전락했던 오피스텔 월세가 지난해 6월부터 7개월 연속 상승 했습니다. 최근 한국부동산원 통계 자료에 따르면 전국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는 작년 6월 이후 매달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12월부터 2023년 5월까지 6개월 동안 이어진 하락세를 마감한 이후 7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인 것입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7개월 연속 오르며 상승세를 견인한 반면, 지방은 지난해 7월, 11월, 12월 등 3개월을 빼고는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오피스텔 임대차 거래에서 전세보다는 월세가 차지하는 비율이 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 자료를 보면 지난해 서울 오.. 2024. 2. 8.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