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4 디딤돌대출, 소득기준 신혼부부 보다 다자녀 가구 낮아 불만 저금리에 주택 자금을 빌려주는 디딤돌대출과 버팀목 대출 소득기준이 신혼부부보다 다자녀 부부가 낮아 형평성에 논란이 일고 불만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이들 키우느라 생활이 빠듯한 부부는 디딤돌 대출을 못 받고, 아이 없는 신혼부부는 가능하다는 게 이해가 안 된다는 불만입니다. 디딤돌대출은 최저 1%대로 주택 구입 자금을 빌려주는 금융 상품입니다.대출을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이 다자녀 가구 (2자녀 이상)가 신혼부부보다 낮다는 사실을 알고 좌절한 소비자들이 많습니다. 한 예로 같은 직장에 다니는 동료 신혼부부는 연소득 8,000만 원인데 디딤돌 대출을 받았고 정작 아이를 둘이나 키우고 있는 자신의 부부는 소득제한에 걸려 디딤돌 대출을 받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정부가 신혼부부를 지원하는.. 2024. 6. 28. 자녀에게 창업자금 최대 100억 까지 최저세율로 증여 성년 자녀에게는 5,000만 원의 증여공제 (10년 단위), 1억원까지 혼인, 출산 증여공제를 해줍니다.이와는 별도로 창업을 앞둔 자녀에게도 지원이 필요하다면 당장의 수증자 (증여를 받는 사람)의 증여세 부담을 크게 줄여유동성을 높여주고 향후 상속 때까지 과세를 이연해주는 장점이 있는 창업 자금 증여세 과세특례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중소기업 창업자금을 증여할 때 5억 원이 공제되며, 과세가액 50억 원 또는 10명 이상 신규 채용 시 100억원 한도로 10% 증여세율이 적용됩니다. 일반 증여세율이 1억원 이하 10%부터 30억원 초과 최대 50%인 점과 비교하면 당장의 증여세 부담을 최저세율로 낮추는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특례가 적용된 증여는 다른 일반 증여와는 .. 2024. 6. 27. 상속주택에 대한 궁금증 해결해 보아요. ★ 돌아가신 아버지가 남긴 주택을 어머니가 상속받아 계속 거주하면 상속세는? 배우자가 상속받으면 상속세가 적게 나옵니다. 상속인 중 배우자가 있다면 누가 재산을 어떻게 상속받는지와 관계없이 최소 5억 원의 배우자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배우자가 아무것도 상속받지 않아도 5억 원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배우자가 재산을 상속받으면 배우자가 실제 상속받은 만큼 공제됩니다. 배우자가 10억원을 받으면 배우자 공제는 10억 원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 상속 주택 가격이 10억 원 미만이면 누가 주택을 상속받더라도 상속세는 나오지 않지만, 상속 주택 가격이 10억원이상이면 배우자가 상속을 받는 것이 공제액이 더 커집니다. 12억원의 주택을 배우자가 상속받으면 12억 원이 다 공제될 수 있지만, 자.. 2024. 6. 26. 보험을 활용하여 상속세 부담을 줄이는 방법 많은 보험회사에서는 보험을 활용하여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과연 그럴까요? 한번 알아봅시다. 아버지가 생명보험을 가입하면서 그 보험금 수익자를 자녀로 두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이때 보험계약자를 본인으로 하면 상속세가 과세되지만, 보험계약자를 소득이 있는 자녀로 둔 경우에는 상속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구분 보험 계약자 피보험자 수익자 과세여부 CASE 1 아버지 아버지 자녀 상속세 과세 O CASE 2 자녀 아버지 자녀 상속세 과세.. 2024. 6. 24. 상속세란? 상속재산 알아보는 방법. 상속주택 가격 결정은? ★ 상속세는 어떤 세금인가요?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주변에서 상속세를 신고해야 한다는 말은 듣지만 상속세가 무엇인지, 또한 부모님 재산이 얼마나 있는지 모르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한 경우가 많습니다. 상속세 : 돌아가신 분의 재산에 대해 남은 유가족이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상속세를 신고하기 위해서는 돌아가신 분(피상속인) 소유의 주택, 자동차, 주식, 예금과 같은 재산을 모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재산에서 채무를 빼고 계산되므로 대출, 신용카드대금, 미납 세금, 미납한 병원비와 같은 피상속인의 채무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채무 외에도 법에서 일정 금액을 더 빼도록 정하고 있는데 이를 ‘상속공제’라고 합니다.상속공제를 잘 활용하면 상속세를 더 줄일 수 있습니다. 먼저 .. 2024. 6. 23. 절세 끝판왕 ISA. 국내투자형 ISA 도입으로 부자들 관심 증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SA) 알고 계시나요?절세를 통해 재산형성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제도화한 상품의 하나로 분리과세금융소득에 속합니다.2016년 3월에 도입된 금융상품으로 하나의 계좌에 예금·펀드 (ETF, 리츠 포함), 주가연계증권(ELS)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담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발생한 이자소득,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 등을 주는 상품입니다. 소득 유무 상관없이 19세 이상인 국내 거주자와 15세 이상인 근로소득자가 가입할 수 있고, 매년 2,0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의무 만기는 2020년 이전에는 5년이었으나 현재는 3년입니다. 최대 누적 납입액 한도는 5년간 1억 원이지만 현행 연 2,000만 원 한도액과 누적 1억 원 한도액은 2024년 중으로 2배 늘어날 전망으.. 2024. 6. 21.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