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1

건물주가 꿈? 대출이자 더하면 마이너스 수익률! 건물주가 꿈인 세상 부동산 투자로 특히 아파트 투자로 돈을 모은 사람들이 다음 단계로 생각하는 것이 상업용 부동산 투자입니다. 하긴 초등학생들도 장래 꿈이 건물주라는 기사를 보면 조금은 씁쓸한 생각이 듭니다. 저만 그런 걸까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시장에 유동성이 풍부해지며 부동산 시장의 알짜배기 투자처로 꼽혔던 소형빌딩 이른바 '꼬마빌딩' 거래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저금리에서 고금리로 전환, 부동산 경기 악화에 따른 투자처로서의 매력을 잃게 된 것이 주요 영향으로 보입니다. 순수 투자수익률은 올해 들어 0%대를 기록하고 있으며, 대출이자를 감안한다면 사실상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얼마 전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급감…2년 만에 3분의 1 토막.. 2024. 1. 28.
PF 위기! 여보 회사 문 닫아야 해. 벼랑끝 건설사 PF (Project Financing) 위기에 수주는커녕 문 닫을 판 작년 11월 민간수주액 35% 뚝, 공사대금 떼일라 걱정, 발주량 줄고 수익성 적어 한숨, 경영난에 폐업건수 8년來 최다 요즘 부동산, 특히 건설 경기가 너무 안 좋습니다. 아마 여러분들도 신문이나 뉴스를 통해 PF부실, 위기에 관해 많이들 접해보셨을 것입니다. 예를 한번 보시죠. 1) 연매출 100억 원, 직원 6명을 둔 종합건설업체 A사의 대표는 서울 강서구 약 50실 오피스텔 미분양 여파로 최근 폐업하고 다른 건설사의 현장관리소장으로 취직했다. 그는 "미분양으로 공사가 중단되거나 지연될 경우 공사대금 받는 시기가 미뤄져 회사가 자금난을 겪었다"며 "버티지 못하고 폐업했다"라고 말했습니다. 2) 철근콘크리트공사업 전문건설업체인 B.. 2024. 1. 28.
아니 벌써~ 임대차2법 만기도래! 향후 전세값은? 임대차2법 만기도래 먼저 임대차3법을 알아보죠. 1) 계약갱신청구권 : 2+2년 보장 (세입자의 2년 계약이 끝나면 추가로 2년 더 연장여 계약) 단, 집주인이나 직계 존,비속이 실거주시 계약갱신청구권 거부할 수 있음. 2) 전,월세상한제 : 계약 갱신시 임대료 상승폭 (5% 이내) 제한 3) 전,월세신고제 : 계약 후 30일 이내 계약 내용 신고 (임대인이나 임차인 중 아무나 한명이 신고) 아마 중요한 내용이라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문제는 올 7월 이후 집주인이 세입자와 신규 계약을 맺을 때 4년치 인상분을 한꺼번에 반영할 경우, 전셋값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임대차 2법(계약갱신 청구권·전월세상한제)의 4년(2+2) 만기가 도래하기 때문입니다.. 2024. 1. 27.
GTX-A,B,C 노선 연장! 호재만 있으면 집값이 뛴다? GTX-A, B, C 노선 연장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B·C노선 연장과 D·E·F노선 신설 추진이 발표되자 수혜단지를 찾으려는 매수자와 돈 되는 곳을 찾으려는 투자자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경기도 동두천시, 강원도 원주시, 충남 아산시 내 택지지구에서는 서울까지 30분 거리의 ‘서울생활권’에 편입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는데요, 실현 가능성이 큰 GTX-A·B·C 연장 노선을 중심으로 현장에 문의가 늘어나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또한 정차역 위치를 두고 지역 주민 간 갑론을박도 벌어지고 있습니다. 물론 본인들의 주거지 가까이에 정차역이 생긴다면 거리에 따른 지가상승 역시 기대가 클 수 밖에 없으니까요. 그럼 이번 발표로 어느 지역이 수혜가 클까요? 바로 평택시가 수혜 지역으로 꼽히고 있.. 2024. 1. 27.
경매로 집을 사자. 그런데 이건 알아두세요. 경매로 내 집 마련 경매는 꼼꼼히 알아보고 잘 분석하면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라고는 하지만 아무래도 초보자가 접근하기에는 좀 불안한 면이 많습니다. 막상 경매로 낙찰을 받았는데, 현재 살고 있는 세입자가 나가지 않는다고 할 수도 있고 (명도 부분) 또한 사람들이 말하는 소위 권리분석이라는 것도 너무 어려워 보이고요. 집값이 너무 오른 요즘 사실 내 집 마련에 대한 고민이 더 깊어지는 추세입니다. 아파트 분양가는 나날이 오르는 상황에서 뉴스나 신문에서는 아파트값이 하락추세에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내 집을 장만하기에는 여전히 부담스럽습니다. 그래서 내 집 마련에 꿈을 꾸는 이들이 경매 시장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듯 합니다. 경매를 통해 내 집 마련을 알아보고 있는 40대.. 2024.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