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82 상속주택에 대한 궁금증 해결해 보아요. ★ 돌아가신 아버지가 남긴 주택을 어머니가 상속받아 계속 거주하면 상속세는? 배우자가 상속받으면 상속세가 적게 나옵니다. 상속인 중 배우자가 있다면 누가 재산을 어떻게 상속받는지와 관계없이 최소 5억 원의 배우자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배우자가 아무것도 상속받지 않아도 5억 원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배우자가 재산을 상속받으면 배우자가 실제 상속받은 만큼 공제됩니다. 배우자가 10억원을 받으면 배우자 공제는 10억 원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 상속 주택 가격이 10억 원 미만이면 누가 주택을 상속받더라도 상속세는 나오지 않지만, 상속 주택 가격이 10억원이상이면 배우자가 상속을 받는 것이 공제액이 더 커집니다. 12억원의 주택을 배우자가 상속받으면 12억 원이 다 공제될 수 있지만, 자.. 2024. 6. 26. 보험을 활용하여 상속세 부담을 줄이는 방법 많은 보험회사에서는 보험을 활용하여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과연 그럴까요? 한번 알아봅시다. 아버지가 생명보험을 가입하면서 그 보험금 수익자를 자녀로 두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이때 보험계약자를 본인으로 하면 상속세가 과세되지만, 보험계약자를 소득이 있는 자녀로 둔 경우에는 상속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구분 보험 계약자 피보험자 수익자 과세여부 CASE 1 아버지 아버지 자녀 상속세 과세 O CASE 2 자녀 아버지 자녀 상속세 과세.. 2024. 6. 24. 상속세란? 상속재산 알아보는 방법. 상속주택 가격 결정은? ★ 상속세는 어떤 세금인가요?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주변에서 상속세를 신고해야 한다는 말은 듣지만 상속세가 무엇인지, 또한 부모님 재산이 얼마나 있는지 모르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한 경우가 많습니다. 상속세 : 돌아가신 분의 재산에 대해 남은 유가족이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상속세를 신고하기 위해서는 돌아가신 분(피상속인) 소유의 주택, 자동차, 주식, 예금과 같은 재산을 모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재산에서 채무를 빼고 계산되므로 대출, 신용카드대금, 미납 세금, 미납한 병원비와 같은 피상속인의 채무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채무 외에도 법에서 일정 금액을 더 빼도록 정하고 있는데 이를 ‘상속공제’라고 합니다.상속공제를 잘 활용하면 상속세를 더 줄일 수 있습니다. 먼저 .. 2024. 6. 23. 절세 끝판왕 ISA. 국내투자형 ISA 도입으로 부자들 관심 증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SA) 알고 계시나요?절세를 통해 재산형성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제도화한 상품의 하나로 분리과세금융소득에 속합니다.2016년 3월에 도입된 금융상품으로 하나의 계좌에 예금·펀드 (ETF, 리츠 포함), 주가연계증권(ELS)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담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발생한 이자소득,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 등을 주는 상품입니다. 소득 유무 상관없이 19세 이상인 국내 거주자와 15세 이상인 근로소득자가 가입할 수 있고, 매년 2,0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의무 만기는 2020년 이전에는 5년이었으나 현재는 3년입니다. 최대 누적 납입액 한도는 5년간 1억 원이지만 현행 연 2,000만 원 한도액과 누적 1억 원 한도액은 2024년 중으로 2배 늘어날 전망으.. 2024. 6. 21. 6.19 저출산 대책 핵심 요약정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위원장: 대통령)는 6월 19일(수) 위원회를 개최하여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을 발표하였습니다.이번 회의에서는 정책수요자인 맞벌이 워킹맘, 다둥이 아빠, 난임모, 청년 등을 모시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하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민간위원과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여하여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한 대책을 논의하였습니다. 회의에서 정부는 저출생 추세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다음의 대책을 발표하였습니다. 저출생의 직접적 원인이 되고 있는 ① 일‧가정 양립, ② 양육, ③ 주거 등 3대 핵심분야 지원에 역량을 집중하고, 좋은 일자리 창출, 과도한 경쟁완화를 위한 공교육 내실화, 지방균형발전 등 구조적 요인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 2024. 6. 20. 중고거래에도 세금을 내야한다고요? 왜? 포털사이트 중고거래 카페나 당근마켓, 번개장터 등 중고거래 플랫폼이 많이 등장했습니다.그만큼 온라인 시대 개인 간에 중고거래 이용건수도 몇 년 간 급격히 상승했습니다. 한편으로는 과세 사각지대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던 중고거래 시장에 국세청이 과세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사람들이의아해하고 있습니다. 이윤에 대한 소득세나, 재화나 용역에 부과하는 부가가치세 등 모든 세금을 다 낸 물건에 대해 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이중과세 아니냐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주장은 얼핏 보면 맞는 것 같기도 하지만 반대로 다른 한 편에서는 중고거래 시장이 과세 사각지대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상반된 주장은 왜 나오는 것일까요? 가장 큰 이유는 중고거래 시장에서 개인과 사업자가 뒤섞여 판매를 하.. 2024. 6. 19.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