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공공예식장은 어디? 웨딩가든의 표준 가격은?

by 포토리얼터 2025. 10. 13.

 

 

 

서울시에서 결혼식 예약난을 해소하고, 개성있고 의미있는 결혼식을 지원하여 건강한 결혼식 문화를 조성하고자 공공예식장을 운영한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최근 웨딩 트렌드 변화로 도심 속 야외 결혼식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 속에서 특별한 친환경 결혼식을 올릴 수 있는 웨딩가든을 조성합니다.

 

기존에는 9개소를 운영했었는데, 앞으로 총 20개소로 확대해서 운영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 웨딩가든을 올릴 수 있는 장소는?

 

남산 한남자락, 서울숲, 서울식물원 등 매력적인 자연 경관을 갖춘 신규 웨딩가든 11개소가 새롭게 조성됩니다.

☞ 기존 9개소를 포함해 총 20개소가 운영될 예정.

 

시설 보수가 필요한 5개소는 서울시가 예산을 반영해 새롭게 정비하고, 기존 운영 장소 중 수용 하객인원이 높아 예비부부들의 선호도가 높은 ‘북서울 꿈의숲 웨딩가든’도 노후된 야외피로연장 보수공사를 2025년 10월 초까지 마칠 예정입니다.

 

 

 

 

▣ 주목할 만한 웨딩가든은 어디?

 

남산의 싱그러운 녹음과 아늑함이 돋보이는 ‘한남스카이 웨딩가든’ (남산 한남 정원 웨딩홀)은 시설 보수를 마치고 올해 하반기부터 운영될 예정이며, 전통미가 돋보이는 한옥 뷰의 ‘장충하우스 웨딩가든’ (남산 장충자락), 낭만적인 정원이 있는 ‘숲속 설렘가든’ (서울숲 설렘정원), 푸른 잔디가 펼쳐진 ‘숲속 그린가든’ (서울숲 승마훈련원 부지), 그리고 ‘보타닉 웨딩가든’ (서울식물원 잔디마당)은 조성·정비를 완료해 2026년부터 새롭게 운영될 예정입니다.

 

특히, 새로 운영되는 ‘한남스카이 웨딩가든’은 남산공원 북측 초입에 위치해 남산 전망을 배경으로 조용하고 독립적인 공간이 조성되어, 프라이빗한 하우스웨딩을 원하는 예비부부들 사이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2025 하반기 예식부터 달라지는 점은?

 

2025년 하반기 예식부터 공원 내 피로연은 예비부부와 하객의 수요를 반영해 케이터링이 가능하도록 운영 기준을 개선했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제한적이었던 피로연도 도시락과 케이터링을 활용해 보다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만일 부득이한 사유로 공원 내 케이터링이 불가한 경우, 도시락 반입 및 인근식당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 피로연이 어려운 정원결혼식장은?

 

공간이 협소한 2개소 (서울숲 설렘정원, 서울식물원 사색의 정원)는 피로연을 진행할 수 없지만, 그 외 모든 웨딩가든에서 도시락 또는 케이터링을 포함한 피로연 이용이 가능합니다.

 

 

◎ 신청 자격과 증빙서류는?

 

공통 : 신랑, 신부 중 한 명이상 해당 시

1) 서울시 거주자일 경우 : 주민등록초본

2) 서울시 생활권자의 경우 : 재직증명서 또는 재학증명서 등

3) 자영업자일 경우 : 사업자등록증

4) 예비부부의 부 또는 모가 서울 거주자의 경우 (아래 2가지 서류 모두 필요)

   ① 서울 거주하는 부 또는 모의 초본 ② 가족관계증명서

 

▶ 상담 및 신청 방법은?

 

 

◈ 서울시 공공예식장 표준 가격은?

 

 

>>> 공공 예식장 신청하러 가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