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뉴스에서 ‘경기’라는 단어를 많이 들었을 것입니다.
경기는 한 나라 전체에서 경제가 활동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이상 사람들은 크든 작든 경기에 영향을 받으며 살아갑니다.
생산이 늘거나 줄어드는 일, 물가가 오르거나 내리는 일, 실업자 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일 모두 경기에 관한 일입니다.
그럼 이렇게 움직이는 경기변동은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요?
◈ 경기란 무엇인가?
경기는 경제의 전반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경제 성장과 축소를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포괄합니다.
경기의 상태는 일반적으로 호황, 불황, 경기침체 등으로 나뉘며, 이는 경제의 생산성, 소비, 투자, 고용 등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경기의 변동은 경제 주체인 기업과 개인의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이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경기 변동의 주요 요소
경기 변동은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대표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있습니다.
○ 소비자 신뢰 : 소비자들이 경제에 대해 얼마나 긍정적으로 생각하는지가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투자 : 기업의 투자 결정은 경제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정부 정책 : 정부의 재정 및 통화 정책은 경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국제 경제 : 글로벌 경제 상황도 국내 경기 변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경기의 상승과 하강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경기 변동을 파악하는 방법
경기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표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선행 지표 : 경제 활동이 시작되기 전에 변동하는 지표로, 주식 시장의 동향이나 소비자 신뢰 지수가 있습니다.
◆ 동행 지표 : 경제 활동과 동시에 변동하는 지표로, 실업률이나 산업 생산 지수가 이에 해당합니다.
◆ 후행 지표 : 경제 활동이 끝난 후에 변동하는 지표로, 예를 들어 고용률이나 물가 상승률 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경기의 현재 상태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경기에 반영된 기업과 소비자의 심리
‘경제는 심리’라는 말이 있듯이 경기 변동에는 기업과 소비자의 심리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경기 종합 지수의 선행 종합 지수를 작성할 때 경제 심리 지수가 반영됩니다.
이 경제 심리 지수에는 경제 상황에 대한 기업과 소비자의 심리가 담겨 있습니다.
기업의 심리는 기업 경기 실사 지수 (Business Survey Index, BSI)로 파악합니다. BSI는 경기상황에 대한 기업의 인식을 조사해 지수로 만든 것으로, 한국은행이 매달 집계를 해서 발표합니다.
수치가 100 이상인 경우, 경기를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들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100 미만은 기업들이 경기를 비관적으로 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위에 그림을 보면 업황 실적과 업황 전망으로 수치가 구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황 실적은 현재 시점에서 판단한 것이며, 업황 전망은 미래의 경제 환경을 고려해 판단한 것입니다.
내수 부진과 지정학적 갈등 상황으로 인해 최근 기업 경기 실사 지수는 지속적으로 100 미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심리를 보여 주는 지표로는 한국은행이 집계해 발표하는 소비자 심리 지수(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 CCSI)가 있습니다.
선행 종합 지수 작성에 반영되는 경제 심리 지수에서 가계의 심리는 소비자 동향 지수 (Consumer Survey Index, CSI)를 통해 파악합니다.
현재 생활 형편, 가계 수입 전망, 소비 지출 전망 등 CSI를 구성하는 주요 항목을 종합해 하나의 지수로 나타낸 것이 바로 소비자 심리 지수입니다.
100을 기준으로, 100 이상이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 미만이면 비관적이라고 판단합니다.
위에 그림을 보면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년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높아지던 2022년에 이 지수가 100 미만에서 움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년 12월에는 국내 정치 상황으로 인해 소비자 심리 지수가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 국가별 경기 지표 비교
각국의 경제 상황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OECD에서 제공하는 Composite Leading Indicators (CLI)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 지표는 각국의 경제 동향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며, 미국, 독일, 일본, 한국 등 주요 국가들의 경제 지표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미국 | 독일 | 일본 | 한국 |
주택 착공건수 내구재 신규주문 종합주가지수 소비자 신뢰지수 제조업 주간 노동시간 제조업 업황지수 장,단기 금리차이 |
IFO(기업환경지수) 경기지수 제조업 신규주문 제조업 수출주문 제조업 최종재 재고 장, 단기 금리차이 서비스업 업황 전망지수 소비자 신뢰지수 |
재고/출하비율 수출입지표 은행예금, 대출비율 제조업 월간 노동시간 종합주가지수 장, 단기 금리차이 중소기업 업황지수 |
제조업 업황 전망지수 종합주가지수 제조업 재고 물량지수 제조업 재고 순환지표 장,단기 금리차이 순교역 조건 |
이러한 비교를 통해 각국의 경제 상황을 이해하고, 글로벌 경제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경기는 경제의 전반적인 상태를 나타내며,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경기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선행, 동행, 후행 지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경제의 현재 상태와 미래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각국의 경제 지표를 비교함으로써 글로벌 경제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정보들은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에게 유용하며, 경기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